본문 바로가기

구글 서치콘솔 자동 색인 요청 방법 –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 가이드

H.J Camper 2025. 4. 15.

안녕하세요 오늘은 블로거 분들이라면 누구나 갖고있는 고민거리가 있습니다. 구글에 글을 노출시키기위한 바로 색인작업 입니다.구글 색인 반영 속도에 불만이 있는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 사용자라면 오늘 포스팅은 반드시 읽어야 할 자동 색인 방법에 대해서 적어 볼까 합니다. 자동색인을 위한 인덱싱 API 설정, GCP 프로젝트 생성, JSON 키 발급 및 연동까지 실전 팁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마지막엔 제가 만든 자동색인 프로그램도 무료로 공유 드리고 있으니 글 끝까지 읽어주시면 감사힙니다.

구글 검색 상위노출을 위한 첫걸음을 지금 시작해보세요.

구글 서치콘솔 자동 색인 요청 방법

 

▼ 글을끝까지보시면 다운로드 링크가 있습니다.▼


📌구글 왜? 내글은 노출되지 않을까?

티스토리나 블로그스팟 같은 플랫폼은 별도의 도메인이 없기 때문에 구글 색인 시스템에서 우선순위가 낮은 편입니다. 이로 인해 블로그 글이 발행된 직후에도 구글 검색 결과에 노출되기까지 며칠 이상 걸리는 경우가 흔하며, 때로는 아예 누락되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많은 블로거들이 선택하는 방법은 수동 색인 등록이지만, 이 또한 매번 반복하기엔 시간과 노력이 상당히 요구됩니다. 저 역시 수동 등록의 비효율성에 지쳐 자동화 방법을 찾아 나섰고, 수십만 원에 판매되는 유료 툴보다 못하겟지만, 대신 제가 직접 무료 자동화 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한 결과, 구글 색인 반영 속도가 눈에 띄게 향상되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그 과정을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왜 수동 색인 등록은 시간이 오래 걸릴까?

구글 서치콘솔에서 URL을 수동 등록하는 방식은 생각보다 많은 단계를 요구합니다. 먼저 서치콘솔에 로그인한 뒤, 블로그 속성을 추가하고 소유권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후 'URL 검사' 기능을 통해 하나하나 글 주소를 넣고 색인 생성을 요청해야 하는데, 하루에도 여러 개의 글을 발행하거나 기존 글을 수정한 경우 이 과정을 반복하기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닙니다. 특히 색인이 누락되었을 때는 재요청이 필요하고, 이때도 언제 반영될지 확신이 없기 때문에 블로그 운영자 입장에서는 시간 낭비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이런 반복적인 수고를 덜기 위한 유일한 해결책이 바로 자동화가 답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자동화가 필요한 이유 – 단지 편의가 아니라, 블로그 경쟁력의 핵심

구글 서치콘솔 자동 색인 요청 방법구글 서치콘솔 자동 색인 요청 방법

 

자동 색인 등록은 단순한 기술적 편의의 문제가 아닙니다. 블로그 콘텐츠가 검색 결과에 얼마나 빠르게 반영되느냐는 전체 유입 구조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구글의 'Indexing API'는 원래 뉴스 사이트나 긴급성 있는 콘텐츠를 가진 대형 사이트를 위한 기능이지만, 티스토리나 블로그스팟처럼 정기적인 포스팅이 이루어지는 플랫폼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 테스트 결과, API를 통해 자동 색인을 적용한 이후 신규 포스트의 평균 반영 시간은 1시간 내외로 단축되었고, 검색 유입도 빠르게 안정화되었습니다. 특히 검색에 민감한 리뷰 콘텐츠나 트렌드형 글의 경우, 자동화의 효과는 훨씬 극대화됩니다.


📌Google Cloud 설정 방법

자동 색인을 적용하려면 GCP에서 API 사용 설정과 서비스 계정 생성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이 과정은 다소 생소할 수 있으나, 단계별로 따라하면 어렵지 않게 완료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콘솔 자동 색인 요청 방법구글 서치콘솔 자동 색인 요청 방법
구글 서치콘솔 자동 색인 요청 방법

  1. Google Cloud Console에 접속 후 로그인합니다.
  2. '프로젝트 만들기'를 클릭하고 프로젝트 이름을 자유롭게 설정한 뒤 생성합니다.
  3. 좌측 메뉴에서 ‘IAM 및 관리자’ → ‘서비스 계정’으로 이동한 뒤, ‘계정 만들기’ 클릭.
  4. 서비스 계정 이름을 입력하고 생성하면 고유한 이메일 주소가 생성됩니다. 이 주소는 나중에 필요하므로 메모해 둡니다.
  5. ‘역할’ 항목에서는 반드시 ‘소유자’로 설정합니다.
  6. 이후 ‘키 만들기’를 클릭하고 JSON 형식의 키를 생성 및 다운로드합니다.
이 JSON 키 파일은 자동화 프로그램에서 인증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이므로, 절대 유실되지 않도록 백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구글 서치콘솔 자동 색인 요청 방법
JSON 파일은분실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API 활성화 – 놓치면 안 되는 핵심 준비 작업

API를 사용하려면 해당 기능을 먼저 활성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 단계를 거칩니다.

구글 서치콘솔 자동 색인 요청 방법
구글 서치콘솔 자동 색인 요청 방법

  1. 좌측 상단 메뉴에서 ‘API 및 서비스’ → ‘라이브러리’ 메뉴로 이동합니다.
  2. 검색창에 ‘Indexing API’를 입력한 뒤, 해당 항목을 클릭하고 ‘사용’ 버튼을 누릅니다.
  3. 같은 방식으로 ‘Google Search Console API’도 검색 후 활성화합니다.
이 두 가지 API는 반드시 함께 사용 설정해야 프로그램이 정상 작동합니다. 하나라도 누락되면 색인 요청이 거부될 수 있으니, 활성화 여부를 다시 한 번 확인하세요.

📌서치콘솔 사용자 등록 – 서비스 계정 연결 마무리하기

구글 서치콘솔 자동 색인 요청 방법
구글 서치콘솔 자동 색인 요청 방법

API 설정까지 마쳤다면, 생성한 서비스 계정을 해당 블로그의 서치콘솔 사용자로 추가해야 합니다.

  1. Google Search Console에 접속해 대상 속성을 선택합니다.
  2. 좌측 메뉴 하단의 ‘설정’ → ‘사용자 및 권한’으로 이동합니다.
  3. ‘사용자 추가’ 버튼을 누르고, 앞서 메모해둔 서비스 계정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4. 권한은 반드시 ‘소유자’로 설정해야 색인 요청이 허용됩니다.

이 작업은 색인 등록의 마지막 연결 고리이기 때문에, 누락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직접 제작한 자동 색인 등록 프로그램 – 누구나 쉽게 사용하는 방법

프로그램은 윈도우용 실행 파일(.exe)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코딩을 몰라도 실행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설정은 Config.txt 파일을 통해 진행되며, 이곳에 JSON 키 파일 경로와 사이트맵 주소를 입력하면 됩니다.

자동색인 프로그램
자동색인 프로그램

  • JSON 키 파일은 실행 파일과 같은 폴더에 보관하고, 파일명은 정확히 일치해야 합니다.
  • 사이트맵 주소도 함께 입력해두면 프로그램 실행 시 자동으로 연동됩니다.
  • 프로그램 실행 후에는 사이트맵을 선택하고 원하는 날짜를 입력하면 자동 색인 요청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요약된 사용 절차

  1. Config.txt 열기 → JSON 파일 경로와 사이트맵 주소 입력
  2. JSON 파일 저장 경로는 실행파일과 동일 폴더로 지정
  3. GSCS.exe 실행 → 색인할 글 날짜 선택 → 자동 색인 요청 시작

구글 서치콘솔 자동 색인 요청 방법
파일구성
구글 서치콘솔 자동 색인 요청 방법
Config.txt 파일 맵핑화면

실제 저의 기준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3시간 이내에 구글 색인 반영이 이루어졌으며, 수동 등록보다 훨씬 안정적인 블로그 운영이가능해졌습니다.  

 


📌자동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 – 블로그 운영의 생존 전략입니다

이제는 좋은 콘텐츠만으로는 검색 유입을 보장할 수 없는 시대입니다. 콘텐츠 품질과 함께, 검색 반영 속도와 구조화된 SEO 전략이 병행되어야 블로그 생존력이 유지됩니다. 자동 색인 등록은 단순히 시간을 절약하는 기능이 아니라, 구글의 색인 로직을 선점하는 전략이기도 합니다.

저 역시 자동화 도입 이후 체류 시간, 검색 유입, 신규 방문자 수 등 전반적인 지표가 눈에 띄게 개선되었고, 이 방법이 더 많은 블로거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 사용에 따른 문제 발생시 제작자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댓글